엑셀 함수 수식 정리

엑셀 COUNTA 함수

letanger 2025. 1. 27. 17:57

 📌 COUNTA 함수란?

COUNTA 함수는 비어 있지 않은 셀(값이 있는 셀)의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.

즉, 숫자, 텍스트, 오류값, 논리값(TRUE, FALSE) 등 모든 데이터 유형을 포함하여 셀 개수를 계산합니다.

 

🔹 빈 셀은 세지 않음! (빈 셀 개수를 세려면 COUNTBLANK 함수 사용)

🔹 숫자만 세려면 COUNT 함수 사용

 

📌 기본 구문

 

COUNTA(value1, [value2], ...)

 

value1, value2, ... : 개수를 셀 범위 (최대 255개까지 입력 가능)

 

✅ 기본 예제 (범위 내 값 개수 세기)

A B C

10 사과

20 바나나 100

오렌지 200

👉 A1:C3 범위에서 값이 있는 셀 개수 세기

 

=COUNTA(A1:C3)

 

결과: 5

 

(빈 셀 C1 제외)

 

✅ 특정 열에서 데이터 개수 세기

A B

김철수 50000

이영희 70000

박민수

최지훈 90000

👉 직원 이름 개수 세기 (A열 비어있지 않은 셀 개수)

 

=COUNTA(A2:A5)

 

결과: 4

 

👉 연봉 데이터 개수 세기 (B열 비어있지 않은 셀 개수)

 

=COUNTA(B2:B5)

 

결과: 3 (B4가 비어 있음)

 

✅ 여러 개의 범위 지정하기

 

=COUNTA(A1:A10, C1:C10)

 

설명: A1:A10과 C1:C10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 개수 합산

 

📌 COUNTA vs COUNT vs COUNTBLANK 차이점

 

함수 기능 예제 결과 (A1:A5)

COUNTA 비어 있지 않은 셀 개수 4 (텍스트, 숫자 포함)

COUNT 숫자가 들어있는 셀 개수 2 (숫자만)

COUNTBLANK 빈 셀 개수 1 (비어 있는 셀만)

 

💡 비어 있지 않은 모든 값 개수를 세려면 COUNTA, 숫자만 세려면 COUNT, 빈 셀 개수를 세려면 COUNTBLANK 사용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