엑셀 함수 수식 정리

엑셀 NOT 함수

letanger 2025. 1. 27. 17:42

 📌 NOT 함수란?

NOT 함수는 논리값을 반대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.

 

TRUE → FALSE

FALSE → TRUE

즉, 특정 조건이 참(TRUE)일 경우 거짓(FALSE)을 반환하고,

거짓(FALSE)일 경우 참(TRUE)을 반환합니다.

 

📌 기본 구문

 

NOT(논리값)

 

논리값 :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하는 조건

 

✅ 기본 예제 (논리값 반전)

A

TRUE

👉 A1이 TRUE이면 FALSE 반환

 

=NOT(A1)

 

결과 : FALSE

 

✅ 특정 조건을 반대로 만들기

A

10

👉 A1이 5보다 크지 않으면 TRUE 반환

 

=NOT(A1 > 5)

결과 : FALSE

(10 > 5이므로 원래 값은 TRUE, NOT 적용 후 FALSE)

 

✅ IF 함수와 함께 사용 (합격/불합격 판별)

점수

85

👉 점수가 80 미만이면 "불합격", 그렇지 않으면 "합격"

 

=IF(NOT(A1 >= 80), "불합격", "합격")

 

결과 : 합격

(85 ≥ 80이므로 NOT(A1 >= 80)은 FALSE → "합격")

 

✅ AND, OR 함수와 함께 사용

AND 또는 OR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조건을 부정할 수 있습니다.

 

📌 모든 조건이 참이 아니어야 TRUE

 

=NOT(AND(A1 > 10, B1 > 20))

 

(A1이 10 초과, B1이 20 초과가 아니라면 TRUE 반환)

 

📌 하나라도 참이 아니어야 TRUE

 

=NOT(OR(A1 > 10, B1 > 20))

(A1이 10 초과이거나 B1이 20 초과가 아니면 TRUE 반환)

 

✅ 빈 셀인지 확인하는 예제

A

(빈 칸)

👉 A1이 비어 있지 않으면 TRUE 반환

 

=NOT(ISBLANK(A1))

결과 : FALSE

(A1이 비어 있으므로 ISBLANK(A1)은 TRUE, NOT 적용 후 FALSE)

 

📌 NOT 함수 활용 요약

활용 예시 수식 결과

논리값 반전 =NOT(TRUE) FALSE

특정 값이 아닌지 확인 =NOT(A1 > 5) A1이 5 초과가 아니면 TRUE

IF와 함께 사용 =IF(NOT(A1 >= 80), "불합격", "합격") 80 미만이면 "불합격"

빈 셀 확인 =NOT(ISBLANK(A1)) A1이 비어 있지 않으면 TR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