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t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데이터 타입(Data Type) 중 하나이며, 기본 자료형(Primitive Data Type) 에 속합니다.
📌 1. 엑셀에서 INT 함수란?
- INT 함수는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 부분만 반환하는 함수입니다.
- 실수값을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(내림) 로 변환합니다.
✅ 구문(Syntax)
=INT(number)
✅ 예제
수식
|
결과
|
설명
|
=INT(3.9)
|
3
|
소수점 이하 버림
|
=INT(-3.9)
|
-4
|
음수는 더 작은 정수로 내림
|
=INT(5)
|
5
|
정수는 그대로 유지
|
📌 2. INT 함수가 속한 범주
엑셀 함수는 기능별로 여러 범주로 나뉩니다.
INT 함수는 다음 범주에 속합니다.
범주
|
설명
|
대표 함수
|
수학 및 삼각 함수
|
숫자 계산 및 수학적 연산 수행
|
INT, ROUND, MOD, ABS, RAND
|
논리 함수
|
조건에 따라 값 반환
|
IF, AND, OR, NOT
|
텍스트 함수
|
문자열 조작
|
LEFT, RIGHT, MID, LEN, TEXT
|
날짜 및 시간 함수
|
날짜 및 시간 계산
|
TODAY, NOW, DATE, DATEDIF
|
조회 및 참조 함수
|
데이터 검색
|
VLOOKUP, HLOOKUP, INDEX, MATCH
|
재무 함수
|
이자율, 대출 계산
|
PMT, FV, PV, NPV
|
통계 함수
|
평균, 합계, 개수 계산
|
AVERAGE, COUNT, MEDIAN
|
✅ INT는 수학 및 삼각 함수 (Math & Trig Functions) 범주에 속하며, 숫자를 다룰 때 사용됩니다.
📌 3. INT와 비슷한 함수
엑셀에서 숫자를 변환하는 다른 함수들도 있습니다.
함수
|
설명
|
예제
|
ROUND
|
반올림
|
=ROUND(3.6, 0) → 4
|
ROUNDDOWN
|
소수점 이하 내림
|
=ROUNDDOWN(3.9, 0) → 3
|
ROUNDUP
|
소수점 이하 올림
|
=ROUNDUP(3.1, 0) → 4
|
TRUNC
|
소수점 이하 절삭(버림)
|
=TRUNC(3.9) → 3
|
FLOOR
|
지정된 배수로 내림
|
=FLOOR(7.8, 2) → 6
|
CEILING
|
지정된 배수로 올림
|
=CEILING(7.8, 2) → 8
|
📌 정리하면, 엑셀의 INT 함수는 "수학 및 삼각 함수" 범주에 속하며, 숫자의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로 변환하는 기능을 합니다
'엑셀 함수 수식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FIND 함수 (0) | 2025.01.25 |
---|---|
엑셀 SEARCH 함수 (0) | 2025.01.25 |
엑셀 ROUND 함수 (0) | 2025.01.23 |
엑셀 MOD 함수 (0) | 2025.01.20 |
엑셀 함수 수식 정리 (0) | 2025.01.20 |